티스토리 뷰
재산세 신용카드 납부 안내, 납부 시기와 혜택을 확인하세요
하늘@ 2024. 10. 15. 19:00
재산세 신용카드 납부는 매년 부동산 소유자들이 꼭 알아야 할 중요한 세금 납부 방법입니다. 재산세는 7월과 9월에 나눠서 납부해야 하며, 신용카드를 통해 납부하면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산세 신용카드 납부 방법과 장점, 주의사항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재산세, 언제 얼마나 내야 할까?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부과됩니다. 재산세 납부는 1차와 2차로 나눠 이루어지며, 각 납부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차 납부: 7월 16일 ~ 31일
- 대상: 주택(50%), 건축물, 선박, 항공기
- 2차 납부: 9월 16일 ~ 30일
- 대상: 토지, 주택(나머지 50%)
이렇게 분할 납부를 통해 세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카드로 재산세 내면 이런 점이 좋아요
재산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할 경우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가장 큰 장점은 수수료가 없다는 점입니다. 카드 납부 시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아 경제적 부담이 줄어듭니다. 또한,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온라인으로 쉽고 빠르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납부 기한을 넘길 경우 3%의 가산금이 부과되므로, 반드시 기한 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재산세 납부 방법
재산세 납부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아래와 같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 납부
- 위택스 (Wetax):
- 서울시 ETAX:
- 모바일 앱 사용
- STAX 앱 다운로드:
,
- 은행/ATM 납부
- ARS 납부
- 위택스 ARS: 1599-3900
- 서울시 ETAX ARS: 1544-3800
이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재산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으며, 각 방법에 따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4년 9월 재산세 납부 카드혜택 모음
아래 표는 각 카드사별 재산세 납부 카드 혜택을 정리한 것입니다.
카드사별 혜택
카드사 |
카드 종류 |
카드명 |
혜택 내용 |
혜택 기간 |
신한카드 |
체크카드 |
개인 체크카드 |
지방세 납부 금액의 0.1% 현금 캐시백 |
~2024.09.30 |
우리카드 |
신용카드 |
전체 신용카드 |
재산세 납부 시 부분 무이자 할부(10/12개월) |
~2024.09.30 |
NH농협카드 |
신용카드 |
전체 신용카드 |
국세 및 지방세 5만원 이상 할부 결제 시 무이자(최대 4개월) |
~2024.12.31 |
하나카드 |
신용카드 |
전체 신용카드 |
국세 및 지방세 5만원 이상 할부 결제 시 부분 무이자 |
~2024.09.30 |
BC카드 |
신용카드 |
BC그린카드 |
국세·지방세 결제 시 에코머니포인트 적립 |
~2024.09.30 |
BC카드 |
신용카드 |
BC 바로 에어 플러스 스카이패스 |
세금 납부 금액 1천원당 1마일 적립 |
상시 |
신한카드 |
신용카드 |
RPM+ Platinum# |
국세 납부 시 포인트 적립 |
상시 |
KB국민 |
체크카드 |
직장인보너스체크카드 |
국세/지방세 건당 10만원 이상 결제 시 7천원 환급 할인 |
상시 |
재산세 카드 납부 수수료
재산세를 카드로 납부할 때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수수료가 없다는 점입니다. 카드 납부 시 별도의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으며, 이는 납세자의 부담을 줄이고 카드 납부를 장려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입니다.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으며,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할인, 적립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재산세 신용카드 납부는 수수료가 없어 경제적이며, 다양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납부 기한을 준수하고 본인의 카드로 받을 수 있는 구체적인 혜택을 잘 확인하여 가장 유리한 방식으로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마트폰을 통해 간편하게 납부를 진행하시고, 다양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