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65세 노령연금 알아보자
하늘@ 2024. 2. 2. 19:15
안녕하세요! 오늘은 '65세 노령연금'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저소득층 어르신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이 연금제도는 최대 300,000원을 지원하는 제도로 1988년에 도입되었습니다. 만 65세 이상이고 국민연금을 받지 않거나 월 급여액이 450,000원 이하인 분들이 대상으로 됩니다. 신청은 본인 또는 대리인을 통해 서류, 모바일, 주민센터에서 가능하니 궁금하신 분들은 지금 바로 신청해보세요!
- 대상: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적, 국내 거주, 소득 인정액 기준 (단독 가구 2,020,000원 이하, 부부 가구 3,232,000원 이하)
- 기존 '기초노령연금 '은 2014년부터 '기초연금'으로 변경됨.
- 최소한의 생계비용 지원을 위한 연금제도로, 다른 연금과 구분됨.
기초연금 수급 자격 및 대상자
- 대상자: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적, 국내 거주, 소득 인정액 기준
-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연금 수급자 및 배우자는 제외.
기초연금 소득 평가액 산출 방법
- 소득 평가액 = 0.7 * (근로소득 - 108만 원) + 기타 소득.
- 예시: 월 200만 원 근로소득, 매달 30만 원 국민연금 수급 시, 소득 평가액은 94.4만 원.
재산의 소득 환산액 산출 방법
-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 = [{(일반재산 - 기본재산액) + (금융재산 - 2,000만 원) - 부채} x 0.04 ÷ 12개월]
- 지역별 공제액 차이 (예시: 서울 1억 3,500만 원, 중소도시 8,500만 원).
기초연금 수급액 및 모의 서비스 사용방법
- 2023년 보건복지부 예산 중 22.5조가 기초연금 예산.
- 수급액 (2023년 기준): 단독 가구 최대 323,180원, 부부 가구 최대 517,080원.
- 소득 및 재산을 기준으로 복지 서비스 모의 계산을 통해 수급 여부 확인.
- 정부의 기본 방침은 소득 기준 하위 70%가 수급 가능하도록 지원.
- 지급 금액은 크지 않지만 많은 노인들에게 보탬이 되고자 하는 취지.
- 미래에도 이러한 지원이 가능할지 우려도 존재.
기초연금은 국민연금 인상 발표에 관한 정보
- 기초노령연금 및 신청 방법과 조건 설명
- 2023년 기초연금 수급자 예상 수와 관련 예산 정보
-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및 소득인정액 변화에 대한 정보
- 신청 장소 및 기간 설명
- 필요한 신청 서류 및 자격 모의 계산 방법 설명
- 2023년 기초노령연금 수령액 변화 내용
- 국민연금 수급자 수와 인상에 대한 정보
구분 |
연령 |
2022년 소득인정액 |
2023년 소득 인정액 |
단독가구 |
만 65세 이상 |
월 180만원 이하 |
월 202만원 이하 |
부부가구 |
월 288만원 이하 |
월 323.2만원 이하 |
구분 |
2022년 |
2023년 |
단독가구 |
30만7천500원 |
32만3천180원 |
부부가구 |
49만2천원 |
51만7천80원 |
65세 노령연금에 대한 정보
- 최대 300,000원을 지원하는 제도로 1988년 도입.
- 대상: 만 65세 이상, 국민연금을 받지 않거나 월 급여액 450,000원 이하인 분들.
- 신청 방법: 본인 또는 대리인(배우자, 자녀, 형제자매, 친족, 사회복지시설장 등)을 통해 서류, 모바일, 주민센터에서 가능.
고용보험 노령연금에 대한 정보
- 고용보험 납입 기간에 따라 지급.
- 60세에서 65세까지 연금을 받을 수 있으며 조기노령연금 도 신청 가능.
기초연금 모의계산
- 가구 유형, 가주지, 소득재산정보 등을 입력하여 모의계산 가능.
구분 |
단독가구 |
부부가구 |
선정기준액 |
1,690,000원 |
2,704,000원 |
이제 65세 노령연금 및 고용보험 노령연금 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저소득층 어르신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이러한 연금제도를 잘 활용하시기를 바랍니다.
이제 65세 노령연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저소득층 어르신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이러한 연금제도를 잘 활용하시기를 바랍니다.